반응형
    250x250
  • 티스토리 홈
  • 프로필사진
    IT aboda
  • 방명록
  • 공지사항
  • 태그
  • 블로그 관리
  • 글 작성
IT aboda
  • 프로필사진
    IT aboda
    • 분류 전체보기 (77)
      • 전기 전자 (33)
        • AC.DC 기초편 (17)
        • AC.DC 설계편 (16)
        • AC.DC 평가편 (0)
      • 전기이론 (10)
        • 회로이론 (10)
      • AI뉴스 (4)
  • 방문자 수
    • 전체:
    • 오늘:
    • 어제:
  • 최근 댓글
    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
    • 최근 공지
        등록된 공지가 없습니다.
      # Home
      # 공지사항
      #
      # 태그
      # 검색결과
      # 방명록
      • 퍼센트 임피던스 (%Z)
        2024년 08월 24일
        • IT aboda
        • 작성자
        • 2024.08.24.:39
        728x90
        반응형
        SMALL

        1. 퍼센트 임피던스

        ​

        퍼센트 임피던스 (%Z)

        먼저 전자용어사전을 인용하여 보면

        "퍼센트 임피던스란 변압기를 포함한 회로에서 기준이 되는 전압과 전류를 정하고

        각각의 임피던스를 기준 임피던스의 백분율로 나타낸 것"이라고 한다.

        ​

        퍼센트 임피던스에 대해 쉽게 알기 위해 다음과 같은 회로로 나타낼 수 있다.

        회로도

        % 임피던스는 아래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.

        %임피던스

        여기서 임피던스는 선로에서 발생하여 손실된 임피던스를 의미한다.

        %임피던스는 전압은 저항에 비례하므로 오옴의 법칙을 이용한 것이다.

        즉 전체 전압에서 각각의 부하에서 발생하는 전압강하의 비율을 나타낸다.

        이것을 다시 수식으로 바꾸어 우리가 아는 공식으로 고치면 다음과 같다.

        %Z - 1

        %임피던스를 기전력 E을 기준으로 하여 산정한 것이다.

        한 폐회로에서 발생한 전압과 손실된 전압은 같게 되므로

        발생한 전압분에 대하여 각 부하에서 소실되는 전압의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.

         

        또한 기준전압을 선간전압으로 바꾸고

        전류를 전압과 전력으로 바꾼다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.

        %Z - 2

        위 식에서 주의해야 할 사항은 단위이다. 위 식을 계산할 때에는 단위에

        주의해야 하는데 전압(V)과 전력(P)의 단위는 kV와 kW이다.

         

        2. 퍼센트 임피던스를 사용하는 이유

        주로 퍼센트 임피던스는 단락전류의 크기를 파악하거나 단락용량 및 전압강하를

        계산할 때 사용됩니다.

        그러면 왜 퍼센트 임피던스로 바꾸어 사용해야 할 까요?

        그 이유는 계통내에 사용되는 변압기에 의해 다양한 크기의 전압과 전류로

        변환되기 때문입니다.

        %Z 이유 선로에서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전류와 전압의 크기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고장성분을 파악하여 해결하기에는 고장점에 흐르는 단락전류를 파악하기 힘들어지게 됩니다.

        따라서 퍼센트 임피던스를 사용하게 됩니다.

        ​

        3. 퍼센트 임피던스와 단락전류

        ​

        위에서 퍼센트 임피던스는 단락전류를 계산할 때 사용한다고 하였습니다.

        그렇다면 어떻게 문제를 해결할 까요?

        ​

        일반적으로 100 / %Z = 단락비 이며

        이는 정격전류에 대한 단락전류의 비율을 의미합니다.

        ​

        쉽게 말해서 %임피던스가 5라면 단락비는 20이며, 단락전류는 정격전류의 20배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.

        ​

        따라서 다음과 같은 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.

        단락비 산정식

        (Is : 단락전류, In : 정격전류) ​

        ​

        위 식에 정격전압을 양변에 Vn 을 모두 곱하면

        단락용량 산정식

        (Ps : 단락용량, Pn : 정격용량) ​

        ​

        그렇다면 %Z가 높아야 안전하고 좋을까요?

        %Z가 크다는 것은 단락비가 작다는 의미이며 그 만큼 구리저항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게 되어

        기계수치는 작아지고 효율이 좋아지지만 누설 자속이 커져 동기 임피던스가 증가한다는 약점을 갖게 됩니다.

        ​

        반대로 %Z가 작다는 것은 단락비가 크다는 의미이므로 전압강하나 전압변동율이 적어 안정도가 좋다는 특징이 있는 반면

        단락전류가 크고 효율이 나쁘다는 치명적인 약점을 갖게 됩니다.

        따라서 서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적정량의 %Z를 유지하는 겁니다.

        728x90
        반응형
        LIST

        '전기이론 > 회로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        정류기 - 전기기기  (0) 2024.08.25
        유도전동기의 회전원리  (0) 2024.08.23
        수하특성(정전류 특성)이란 ?  (0) 2024.08.22
        동기발전기의 출력 P [W]  (0) 2024.08.21
        전기 회로 이론 : 전달함수  (0) 2024.08.19
        다음글
        다음 글이 없습니다.
        이전글
        이전 글이 없습니다.
        댓글
      조회된 결과가 없습니다.
      스킨 업데이트 안내
      현재 이용하고 계신 스킨의 버전보다 더 높은 최신 버전이 감지 되었습니다. 최신버전 스킨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하시겠습니까?
      ("아니오" 를 선택할 시 30일 동안 최신 버전이 감지되어도 모달 창이 표시되지 않습니다.)
      목차
      표시할 목차가 없습니다.
        • 안녕하세요
        • 감사해요
        • 잘있어요

        티스토리툴바